명사 (품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사는 언어학에서 사물, 사람, 장소 또는 개념을 나타내는 품사이다. 한국어에서는 보통 명사, 고유 명사, 자립 명사, 의존 명사, 구체 명사, 추상 명사 등으로 분류된다. 다른 언어에서는 명사가 수, 성, 격 등의 문법적 범주에 따라 형태가 변하기도 하며, 영어는 고유 명사, 보통 명사, 집합 명사, 물질 명사, 추상 명사로, 일본어는 체언, 보통 명사, 고유 명사, 형식 명사, 대명사 등으로 분류된다. 명사는 명사구, 명사절, 명사법 등 다양한 문법적 구성 요소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언어에서는 수, 성, 격에 따라 형태가 달라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명사 (품사) | |
---|---|
품사 | |
종류 | 단어 |
언어 | 모든 언어 |
정의 | |
설명 | 사물 또는 사물의 집합을 명명하는 품사 |
예시 |
2. 한국어의 명사
2. 1. 분류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른 명사 분류는 다음과 같다.대표형 | 동의어 | 순 우리말 용어 |
---|---|---|
보통 명사 | 통칭 명사(通稱名詞) | 두루이름씨 |
고유 명사 | 특립 명사(特立名詞), 특별 명사(特別名詞) | 홀로이름씨, 홀이름씨, 홑이름씨 |
자립 명사 | 실질 명사(實質名詞), 완전 명사(完全名詞) | 옹근이름씨 |
의존 명사 | 불완전 명사(不完全名詞), 형식 명사(形式名詞) | 꼴이름씨, 매인이름씨, 안옹근이름씨 |
구체 명사 | 구상 명사(具象名詞) | 꼴있는이름씨 |
추상 명사 | 무형 명사(無形名詞) | 꼴없는이름씨 |
가산 명사 | ||
불가산 명사 | ||
복합 명사 | 합성 명사(合成名詞) | 거듭이름씨, 겹이름씨 |
집합 명사 | 중다명사(衆多名詞) | 모임이름씨, 여럿이름씨 |
일반 명사(一般名辭) | 보통 명사(普通名辭) | |
유형 명사(有形名詞) | ||
인성 명사(人性名詞) | ||
종합 명사(綜合名詞) |
명사는 여러 가지 속성을 가질 수 있으며, 언어에 따라 이러한 다양한 기준에 따라 하위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명사는 어떤 형태론적 속성, 예를 들어 어떤 접두사 또는 접미사를 취하는지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통사론에서의 관계, 즉 다른 단어 및 다양한 유형의 표현과 어떻게 결합하는지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많은 분류는 통사론과 형태론의 뚜렷한 차이를 고려할 때 언어별로 특수하다. 예를 들어 영어에서는 명사가 정관사와 함께 나타날 수 있는 단어라는 점을 언급할 수 있지만, 이는 정관사가 없는 러시아어에는 적용될 수 없다.
2. 2. 자립 명사
'''자립 명사'''(自立名詞/자립명사한국어, 차림명사, , 옹그닐름시)는 명사 자체에 의미가 있어 다른 단어 없이 자립하여 사용 가능한 명사를 가리킨다.- '''보통 명사'''
- 일반적인 대상을 가리키는 명사.
- 하늘, 나무, 사랑…
- '''구체 명사'''
- 눈에 보이는 구체적인 대상을 가리키는 명사.
- 나무, 돌…
- '''추상 명사'''
-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대상을 가리키는 명사.
- 사랑, 희망, 삶…
2. 2. 1. 고유 명사
특정 인물이나 대상을 가리키는 명사이다. 인명, 국명, 지명, 사명 등이 이에 해당한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홀로이름씨, 홀이름씨, 홑이름씨를 동의어로 제시하고 있다.[13]예시:
- 신라
- 한강
- 김대중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으로, 민주주의와 인권 신장에 기여하고 남북 화해협력 정책을 추진하여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 이순신 - 조선 시대의 장군으로, 임진왜란에서 혁혁한 공을 세워 나라를 지켰다.
대표형 | 동의어 | 순 우리말 용어 |
---|---|---|
고유 명사(固有名詞) | 특립 명사(特立名詞), 특별 명사(特別名詞) | 홀로이름씨, 홀이름씨, 홑이름씨 |
2. 2. 2. 보통 명사
보통 명사(普通名詞)는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제시하는 대표적인 명칭이며, 통칭 명사(通稱名詞) 또는 두루이름씨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인 대상을 가리키는 명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하늘, 나무, 사랑 등이 보통 명사에 해당한다.2. 2. 3. 구체 명사
구체 명사(具體名詞)는 꼴있는이름씨라고도 하며, 눈에 보이는 구체적인 대상을 가리키는 명사이다. 예를 들어 나무, 돌 등이 있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구상 명사(具象名詞)를 동의어로 제시하고 있다.대표형 | 동의어 | 순 우리말 용어 |
---|---|---|
구체 명사(具體名詞) | 구상 명사(具象名詞) | 꼴있는이름씨 |
이는 적어도 하나의 감각으로 관찰할 수 있는 물리적 객체를 지칭하며, 물리적 세계에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반면에 추상 명사는 물리적 실체가 없는 아이디어나 개념을 의미한다.
어떤 명사는 구체적 의미와 추상적 의미를 모두 가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예술'은 일반적으로 추상적인 것을 지칭하지만("예술은 인간 문화에서 중요하다"), 구체적인 항목을 지칭할 수도 있다("나는 딸의 예술 작품을 냉장고에 붙였다").
2. 2. 4. 추상 명사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대상을 가리키는 명사이다. 사랑, 희망, 삶 등이 이에 해당한다. 특히, 사회 정의, 평등, 자유 등 진보적 가치를 나타내는 추상 명사는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대표형 | 동의어 | 순 우리말 용어 |
---|---|---|
추상 명사(抽象名詞) | 무형 명사(無形名詞) | 꼴없는이름씨 |
2. 3. 의존 명사
명사의 한 종류로, 자립성이 없이 다른 말에 의존하여 사용되는 명사를 가리킨다. 의존명사한국어, 꼴이름씨한국어라고도 한다.예시: 뿐, 바, 따름, 곳, 따위
'''서술성 의존 명사'''
서술어의 기능을 하는 의존 명사이다.
'''주어성 의존 명사'''
주어의 기능을 하는 의존 명사이다.
2. 3. 1. 서술성 의존 명사
서술어의 기능을 하는 의존 명사이다.2. 3. 2. 주어성 의존 명사
주어의 기능을 하는 의존 명사이다.3. 다른 언어의 명사
여러 언어에서 명사는 다양한 특징을 가지며, 특히 수, 성, 격 등의 문법적 범주에 따라 형태가 변하는 경우가 많다.
일본어와 중국어 등에서는 계수사를 사용하여 명사가 나타내는 대상의 개수를 나타내는 반면, 많은 언어에서는 명사를 직접 셀 수 있다. 이 명사가 나타내는 수를 수라고 부르며, 적어도 "단수"와 "복수"가 있다. 다만, 이러한 언어에서도 모든 명사를 셀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추상 명사 등은 셀 수 없다. 셀 수 있는 명사를 가산 명사, 그렇지 않은 것을 불가산 명사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후자는 단수형만 존재한다. 의미에 따라 가산과 불가산으로 나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영어의 페이퍼/paper영어는 종이의 의미라면 불가산으로 투 시츠 오브 페이퍼/two sheets of paper영어 등으로 표현하지만, 신문·논문의 의미라면 가산으로 투 페이퍼스/two papers영어 등으로 표현한다. 또한, 인명 (특히 성씨)에 대해서는 복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he" + "성씨의 복수형"으로 "#전송 가문"이라는 의미가 된다 (더 다나카스/the Tanakas영어는 "다나카 가문"}). 또한, 혈연관계가 없더라도 여러 동성인을 가리키는 경우에는 복수형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신문 등에서 투 마쓰이스/two Matsui
일부 언어에서 일반 명사와 고유 명사는 문법적 성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남성, 여성, 중성으로 분류된다. 명사의 성은 해당 명사를 수식하거나 함께 사용되는 단어에서 일치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에서 정관사의 단수 형태는 남성 명사의 경우 'le', 여성 명사의 경우 'la'이며, 형용사와 특정 동사 형태도 변경된다.[26]
성을 가진 언어의 대부분은 문법상의 성도 가진다. 모든 명사가 특정 그룹(남성, 여성 등)으로 나뉘며,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나 관형사,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대명사가 명사의 성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에서는 솔레이유/soleil프랑스어은 태양을 의미하는 남성 명사, 륀/lune프랑스어은 달을 의미하는 여성 명사이며, 관사가 붙으면 각각 르 솔레이유/le soleil프랑스어과 라 륀/la lune프랑스어이 된다.
실제 성과 일치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으며, 각 명사와의 대응도 언어마다 다르며, 일관성이 없다. 예를 들어, "태양"을 의미하는 프랑스어 솔레이유/soleil프랑스어, 스페인어솔/soles는 모두 남성 명사이지만, 독일어조네/Sonnede는 여성 명사이며, 한편, "달"을 의미하는 프랑스어 륀/lune프랑스어, 스페인어 루나/lunaes는 여성 명사인 데 반해, 독일어 Mond|몬트de는 남성 명사이다.
결국, "성"이라고 말하지만, 실제로는, 유사한 규범성을 갖는 명사 집합의 호칭이며, 언어에 따라 5개 이상으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성 (문법)#성의 수」참조), 자연의 성에 얽매이지 않는 "명사류", "명사 클래스"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일부 언어는 명사에 격(case)을 부여하며, 이는 문장 내에서 명사의 역할을 나타낸다. 영어 명사의 격은 주격(nominative case), 속격(genitive case) 또는 소유격(possessive case), 목적격(objective case)으로 분류된다.
속격 또는 소유격은 주격 관계, 목적격 관계, 또는 단순한 소유 관계를 나타낸다.
표준 독일어의 정자법에서는 모든 명사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해야 한다.
3. 1. 영어의 명사
영어에서의 명사는 명사가 나타내는 대상의 속성에 따른 분류 또는 수의 개념에 따른 분류를 할 수 있으며, 전자의 경우 5종, 후자의 경우 2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고유 명사'''(proper noun)
- 성질상 유일무이한 대상을 가리키는 명사. 인명, 회사명, 지명 등이 이에 해당한다.
- 예: 일본, 콜럼버스, 유럽, 스미스 씨 등.
- 일반적으로 머리글자가 대문자로 표기되지만, 머리글자가 대문자라고 해서 고유 명사인 것은 아니다(예: 금요일, 영어〈언어명〉).
- '''보통 명사'''(common noun)
- 일반적인 대상을 가리키는 명사. 일본어와는 달리 추상 명사는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 예: 개, 책, 사과 등.
- 보통 명사에는 총칭적 표현으로 대표 명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대표 명사로 보통 명사를 사용하는 경우 아래 3종류의 표현 방법이 인정된다.
- 예: 새는 날 수 있다.
- * ''Birds'' can fly.
- * ''A bird'' can fly.
- * ''The bird'' can fly.
- :: 3.은 "the"가 가진 문법적 성질에 의해 추상성을 얻기 때문에 다소 문어적이다.
- '''집합 명사'''(collective noun)
- 집합체를 대상으로 하는 명사. 일본어의 경우 영어에서의 집합 명사는 모두 보통 명사에 포함된다.
- 예: 위원회, 가족, 정부 등.
- 집합 명사는 집합체를 1단위로 간주하는 경우 보통 명사로 간주할 수도 있지만, 집합체의 구성 단위에 주안점을 두는 경우, 수적으로는 복수적 성질을 가질 수 있다.
- 예:
- * I have ''a'' large ''family''. (우리 집은 대가족이다)
- * My ''family'' ''are'' all doctors. (우리 가족은 모두 의사다)
- '''물질 명사'''(material noun)
- 최소 구성 단위의 확립이 불가능한 대상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명사.
- 예: 유리, 강철, 커피 등.
- 물질 명사는, 그 물질 명사로 이루어진 제품, 종류 등을 나타낼 때 보통 명사로 취급된다. 이것을 물질 명사의 보통 명사화라고 부른다.
- 예:
- * ''Glass'' is usually regarded as a solid. (유리는 보통 고체로 간주된다)
- * I poured water into a ''glass''. (나는 잔에 물을 따랐다)
- :: 1.은 물질 명사, 2.는 보통 명사로 취급하고 있다.
- '''추상 명사'''(abstract noun)
- 추상 개념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명사.
- 예: 아름다움, 실패, 민주주의 등.
- 추상 명사가 구체적인 내용을 상기시키는 경우, 물질 명사와 마찬가지로 보통 명사로 취급된다. 이것을 추상 명사의 보통 명사화라고 부른다.
- 예:
- * The only thing he needs is ''kindness'' towards others. (그에게 유일하게 부족한 것은 타인에 대한 친절함이다)
- * Thank you for the many ''kindnesses'' during my school days. (재학 중 여러 가지로 신세를 졌습니다)
- :: 2.에서는 구체적으로 상대방이 재학 중에 해준 친절의 사정을 받아 보통 명사화하고 있다.
- '''가산 명사''' (countable noun)
앞서 언급된 5가지 종류는, 보통 명사·집합 명사가 가산 명사, 물질 명사·추상 명사·고유 명사가 불가산 명사로 분류된다.
영어에서의 수의 개념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다른 언어에서의 명사의 특징」을 참조.
3. 1. 1. 고유 명사
'''고유 명사'''(proper noun)는 성질상 유일무이한 대상을 가리키는 명사이다. 인명, 회사명, 지명 등이 이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일본, 콜럼버스, 유럽, 스미스 씨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머리글자가 대문자로 표기되지만, 머리글자가 대문자라고 해서 고유 명사인 것은 아니다(예: 금요일, 영어〈언어명〉).[13] 현대 영어에서 대부분의 고유 명사는 문맥에 관계없이 대문자로 표기된다(''알바니아'', ''뉴턴'', ''파스퇴르'', ''미국''). 고유 명사에서 파생된 많은 형태도 대문자로 표기된다 ( "그는 ''알바니아인''이다"의 보통 명사, "그는 ''알바니아'' 유산 출신이다"와 ''뉴턴'' 물리학"의 형용사 형태, 하지만 "''살균된'' 우유"에서는 아님). 그리고 "그들은 우리를 ''미국화''하려 했다"의 두 번째 동사도 대문자로 표기된다.3. 1. 2. 보통 명사
일반적인 대상을 가리키는 명사이다. dog영어, book영어, apple영어 등이 있다. 일본어와는 달리 추상 명사는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보통 명사는 총칭적 표현으로 대표 명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대표 명사로 보통 명사를 사용하는 경우 아래 3종류의 표현 방법이 인정된다.- ''Birds'' can fly.
- ''A bird'' can fly.
- ''The bird'' can fly.
위 예시에서 3번째 문장은 "the"가 가진 문법적 성질에 의해 추상성을 얻기 때문에 다소 문어적이다.
3. 1. 3. 집합 명사
'''집합 명사'''는 형태와 문법에서 단수로 취급되더라도, 여러 개체나 실체로 구성된 '그룹'을 지칭하는 명사이다. 예시로는 '위원회', '가족', '정부' 등이 있다.[16] 집합 명사는 집합체를 1단위로 간주하는 경우 보통 명사로 간주할 수도 있지만, 집합체의 구성 단위에 주안점을 두는 경우, 수적으로는 복수적 성질을 가질 수 있다.[16]예:
- I have ''a'' large ''family''. (우리 집은 대가족이다)
- My ''family'' ''are'' all doctors. (우리 가족은 모두 의사다)
3. 1. 4. 물질 명사
최소 구성 단위의 확립이 불가능한 대상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명사이다.물질 명사는, 그 물질 명사로 이루어진 제품, 종류 등을 나타낼 때 보통 명사로 취급된다. 이것을 물질 명사의 보통 명사화라고 부른다.
- 예:
- * ''Glass'' is usually regarded as a solid. (유리는 보통 고체로 간주된다)
- * I poured water into a ''glass''. (나는 잔에 물을 따랐다)
- : 1.은 물질 명사, 2.는 보통 명사로 취급하고 있다.
3. 1. 5. 추상 명사
'''추상 명사'''는 추상 객체를 지칭한다. 즉, 아이디어나 개념(''정의'', ''분노'', ''용해도'', ''지속 시간'')을 의미한다.예: 아름다움, 실패, 민주주의 등.
추상 명사가 구체적인 내용을 상기시키는 경우, 물질 명사와 마찬가지로 보통 명사로 취급된다. 이것을 추상 명사의 보통 명사화라고 부른다.
예:
- The only thing he needs is ''kindness'' towards others. (그에게 유일하게 부족한 것은 타인에 대한 친절함이다)
- Thank you for the many ''kindnesses'' during my school days. (재학 중 여러 가지로 신세를 졌습니다)
: 2.에서는 구체적으로 상대방이 재학 중에 해준 친절의 사정을 받아 보통 명사화하고 있다.
어떤 명사는 구체적 의미와 추상적 의미를 모두 가지고 있다. ''예술''은 일반적으로 추상적인 것을 지칭하지만 ("예술은 인간 문화에서 중요하다"), 구체적인 항목을 지칭할 수도 있다 ("나는 딸의 예술 작품을 냉장고에 붙였다"). 명사는 문자 그대로의 (구체적인) 의미와 비유적인 (추상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황동 ''열쇠''"와 "성공의 ''열쇠''"; "파이프의 ''막힘''"과 "정신적인 ''막힘''". 마찬가지로, 일부 추상 명사는 문자 그대로의 어원에서 비유적으로 확장되어 어원적으로 발전해 왔다 (''결점'', ''분수'', ''거부'', ''흡수'')
영어의 많은 추상 명사는 형용사나 동사에 접미사 (''-ness'', ''-ity'', ''-ion'')를 추가하여 형성된다 (형용사 ''happy''와 ''serene''에서 ''happiness''와 ''serenity''; 동사 ''circulate''에서 ''circulation'').
3. 1. 6. 가산 명사
'''가산 명사''' 또는 '''셀 수 있는 명사'''는 복수형을 취할 수 있고, 수사나 세는 수량사 (예: ''하나'', ''둘'', ''몇몇'', ''모든'', ''대부분'')와 결합할 수 있으며, ''a'' 또는 ''an''과 같은 부정 관사를 취할 수 있는 일반 명사이다(그러한 관사가 있는 언어에서). 가산 명사의 예로는 ''의자'', ''코'', ''기회''가 있다.[14][15]많은 명사는 가산 용법과 불가산 용법을 모두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소다''는 "소다 세 개 줘"에서는 가산 명사로, "그는 소다를 좋아해"에서는 불가산 명사로 사용된다.
3. 1. 7. 불가산 명사
불가산 명사 또는 셀 수 없는 명사는 가산 명사와 정확히 그 점에서 다르다. 즉, 복수형을 취하거나 숫자 단어 또는 위 유형의 수량사와 결합할 수 없다. 예를 들어, 'a furniture'와 'three furnitures' 형태는 사용되지 않는다. - 가구의 "조각"은 셀 수 있지만. 불가산 명사와 가산 명사의 구분은 주로 해당 지칭 대상과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라 명사가 해당 개체를 어떻게 "제시"하느냐와 관련이 있다.[14][15]많은 명사는 가산 용법과 불가산 용법을 모두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소다'는 "소다 세 개 줘"에서는 가산 명사로, "그는 소다를 좋아해"에서는 불가산 명사로 사용된다.
- 가산 명사 (countable noun)
앞서 언급된 5가지 종류는, 보통 명사·집합 명사가 가산 명사, 물질 명사·추상 명사·고유 명사가 불가산 명사로 분류된다.
영어에서의 수의 개념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다른 언어에서의 명사의 특징」을 참조.
3. 2. 일본어의 명사
자립어로, 활용되지 않고, (조사를 동반하여) 주어가 되는 품사를 '''체언'''이라고 한다. 체언을 모두 명사로 보는 설과, 여러 품사로 분류하고 그 중 주요한 것을 명사로 보는 설이 있다.일본어에서 명사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보통 명사: 같은 종류에 속하는 모든 사물에 적용되는 명칭을 나타내는 명사이다.
- 예: "개", "피아노", "시대" 등.
- 고유 명사: 인명, 조직명이나 지명 등, 유일무이한 특정 대상을 나타내는 명사. 문법상으로는, 경칭을 동반할 때는 이것도 포함하여 고유 명사로 하는 경우가 많다.
- 예: "일본", "위키백과", "넷플릭스(Netflix)", "사토 씨" 등.
- 형식 명사: 용언에 대해 주어 등을 형성하거나, 다른 문절과의 대응 관계를 만드는 (관계 명사도 참조) 형식적인 명사. 조사 없이 연용 수식어가 될 수 있는 것도 있다 ("~하기 위해~"의 "위해" 등).
- 예: "놀란 일이 있다", "중요한 것은 포기하지 않는 것이다" 등의 "것", "횡단할 때는 주의합시다"의 "때".
- "그에게 묻는 것이 좋다", "저쪽에 도착하고 나서가 중요하다" 등의 "것", "부터"도 기능은 형식 명사와 비슷하지만, 조사에서 유래하므로 준체 조사(준체언 조사)라고 불린다.
- 형식 명사는 일반적으로 히라가나로 표기된다.
- 동사성 명사·사변 명사: 동작을 나타내는 명사로, "하다"를 붙여 사변 동사가 된다. 예시의 "테스트"처럼, 가타카나어를 포함한다. 또한, 문화청의 조사에 따르면 "차를 마시다"를 명사에 "하다"를 붙여 "차하다"라고 표현하는 등, 특정 행위를 동사성 명사로 표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 예: "공부", "희망", "테스트" 등.
- 대명사: 화자, 청자, 대상의 관계에 따라 의미하는 것이 변화하는 명사이다.
- 예: "나", "그것" 등. 독립된 품사로 할 때는 "그", "그렇게" 등 (대명사를 독립시키지 않을 때는 관형사나 부사로 간주)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 "나", "너"처럼 사람을 가리키는 것을 인칭대명사, "이것", "저기"처럼 사물이나 장소, 방향 등을 가리키는 것을 지시 대명사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다.
- 명사와 명사구는 반복이나 명시적인 식별을 피하거나 다른 이유로 일반적으로 ''그, 그것, 그녀, 그들, 어느 것, 이것들''과 ''저것들''과 같은 대명사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areth thought she was weird"라는 문장에서 ''she''는 명사 ''Gareth''처럼 한 사람을 가리키는 대명사이다. 단어 ''one''은 명사구의 일부를 대체할 수 있으며, 때때로 명사를 대신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존의 차는 빌이 가진 ''것''보다 더 새롭다.
- 하지만 ''one''은 명사구의 더 큰 부분을 대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음 예시에서 ''one''은 ''새 차''를 대신할 수 있다.
- 이 새 차가 ''저것''보다 더 싸다.
- 수사: 사물의 순서나 개수, 수량 등을 나타내는 명사이다. 문법상으로는 단위나 계수사를 동반할 때는 이것도 포함하여 수사로 하는 경우가 많다. 통상의 명사와 달리 조사를 동반하지 않고 부사어가 될 수 있다.
- 예: "1번", "2000년", "3개", "50g", "시속 40km" 등.
- 시사: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이다. 조사를 동반하지 않고 부사어가 될 수 있다.
- 예: "지금", "봄", "아까", "재작년" 등.
- 형용사성 명사: 형용동사를 인정하지 않고, 명사에 조동사 "이다" 등이 붙었다고 생각한 것이다. 보통의 명사와 달리 "な(na)"를 붙일 수 있는 대신, 일부를 제외하고 격조사 등을 붙일 수 없다. 명사에서 독립시키는 것 외에, "이다" 등을 포함해 형용동사(또는 형용사의 일종인 나 형용사)로 하는 경우도 많다.
- 예: "조용하다", "예쁘다", "신기하다" 등.
의미에 따라서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추상 명사''': '자유'나 '정의' 등과 같은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명사.
- '''구상 명사/구체 명사''': '연필'이나 '절' 등과 같이 유형의 물체를 나타내는 명사.
명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전성명사: 다른 품사에서 명사로 바뀐 것.
- 동사·형용사의 연용형이 그대로 명사로 사용되는 경우 (예를 들어, 「귀가」, 「멀리」 등).
- 형용사·형용동사의 어간에 「さ(사)·み(미)·け(케)」가 붙어 명사가 되는 경우 (예를 들어, 「춥다+け(케)=추위」, 「조용하다+さ(사)=조용함」 등).
- 복합명사: 둘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명사 (예를 들어, 「봄+바람=봄바람」, 「오르다+언덕=오르막」 등).
3. 2. 1. 명사와 체언
자립어로, 활용되지 않고, (조사를 동반하여) 주어가 되는 품사를 '''체언'''이라고 한다.체언을 모두 명사로 보는 설과, 여러 품사로 분류하고 그 중 주요한 것을 명사로 보는 설이 있다.
3. 2. 2. 명사의 종류
보통 명사: 같은 종류에 속하는 모든 사물에 적용되는 명칭을 나타내는 명사이다.
- 예: "개", "피아노", "시대" 등.
고유 명사
: 인명, 조직명이나 지명 등, 유일무이한 특정 대상을 나타내는 명사. 문법상으로는, 경칭을 동반할 때는 이것도 포함하여 고유 명사로 하는 경우가 많다.
형식 명사
: 용언에 대해 주어 등을 형성하거나, 다른 문절과의 대응 관계를 만드는 (관계 명사도 참조) 형식적인 명사. 조사 없이 연용 수식어가 될 수 있는 것도 있다 ("~하기 위해~"의 "위해" 등).
- 예: "놀란 일이 있다", "중요한 것은 포기하지 않는 것이다" 등의 "것", "횡단할 때는 주의합시다"의 "때".
:"그에게 묻는 것이 좋다", "저쪽에 도착하고 나서가 중요하다" 등의 "것", "부터"도 기능은 형식 명사와 비슷하지만, 조사에서 유래하므로 준체 조사(준체언 조사)라고 불린다.
: 형식 명사는 일반적으로 히라가나로 표기된다.
동사성 명사·사변 명사
: 동작을 나타내는 명사로, "하다"를 붙여 사변 동사가 된다. 예시의 "테스트"처럼, 가타카나어를 포함한다. 또한, 문화청의 조사에 따르면 "차를 마시다"를 명사에 "하다"를 붙여 "차하다"라고 표현하는 등, 특정 행위를 동사성 명사로 표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 예: "공부", "희망", "테스트" 등.
3. 2. 3. 대명사
화자, 청자, 대상의 관계에 따라 의미하는 것이 변화하는 명사이다.- 예: "나", "그것" 등. 독립된 품사로 할 때는 "그", "그렇게" 등 (대명사를 독립시키지 않을 때는 관형사나 부사로 간주)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 "나", "너"처럼 사람을 가리키는 것을 인칭대명사, "이것", "저기"처럼 사물이나 장소, 방향 등을 가리키는 것을 지시 대명사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다.
명사와 명사구는 반복이나 명시적인 식별을 피하거나 다른 이유로 일반적으로 ''그, 그것, 그녀, 그들, 어느 것, 이것들''과 ''저것들''과 같은 대명사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areth thought she was weird"라는 문장에서 ''she''는 명사 ''Gareth''처럼 한 사람을 가리키는 대명사이다. 단어 ''one''은 명사구의 일부를 대체할 수 있으며, 때때로 명사를 대신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존의 차는 빌이 가진 ''것''보다 더 새롭다.
하지만 ''one''은 명사구의 더 큰 부분을 대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음 예시에서 ''one''은 ''새 차''를 대신할 수 있다.
이 새 차가 ''저것''보다 더 싸다.
3. 2. 4. 수사
사물의 순서나 개수, 수량 등을 나타내는 명사이다. 문법상으로는 단위나 계수사를 동반할 때는 이것도 포함하여 수사로 하는 경우가 많다. 통상의 명사와 달리 조사를 동반하지 않고 부사어가 될 수 있다.- 예: "1번", "2000년", "3개", "50g", "시속 40km" 등.
3. 2. 5. 시사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이다. 조사를 동반하지 않고 부사어가 될 수 있다.- 예: "지금", "봄", "아까", "재작년" 등.
3. 2. 6. 형용사성 명사
형용동사를 인정하지 않고, 명사에 조동사 "이다" 등이 붙었다고 생각한 것이다. 보통의 명사와 달리 "な(na)"를 붙일 수 있는 대신, 일부를 제외하고 격조사 등을 붙일 수 없다. 명사에서 독립시키는 것 외에, "이다" 등을 포함해 형용동사(또는 형용사의 일종인 나 형용사)로 하는 경우도 많다.- 예: "조용하다", "예쁘다", "신기하다" 등.
3. 2. 7. 의미에 따른 분류
'''구체 명사'''는 적어도 하나의 감각으로 관찰할 수 있는 물리적 실체를 지칭하며 ('''의자''', '''사과''', '''재닛''', '''원자''') 물리적 세계에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항목이다. 반면에 '''추상 명사'''는 추상 객체를 지칭한다. 즉, 아이디어나 개념 ('''정의''', '''분노''', '''용해도''', '''지속 시간''')을 의미한다.
어떤 명사는 구체적 의미와 추상적 의미를 모두 가지고 있다. '''예술'''은 일반적으로 추상적인 것을 지칭하지만 ("예술은 인간 문화에서 중요하다"), 구체적인 항목을 지칭할 수도 있다 ("나는 딸의 예술 작품을 냉장고에 붙였다"). 명사는 문자 그대로의 (구체적인) 의미와 비유적인 (추상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황동 '''열쇠'''"와 "성공의 '''열쇠'''"; "파이프의 '''막힘'''"과 "정신적인 '''막힘'''". 마찬가지로, 일부 추상 명사는 문자 그대로의 어원에서 비유적으로 확장되어 어원적으로 발전해 왔다 ('''결점''', '''분수''', '''거부''', '''흡수''')
영어의 많은 추상 명사는 형용사나 동사에 접미사 (''-ness'', ''-ity'', ''-ion'')를 추가하여 형성된다 (형용사 ''happy''와 ''serene''에서 ''happiness''와 ''serenity'''; 동사 ''circulate''에서 ''circulation'').
- '''추상 명사''': '자유'나 '정의' 등과 같은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명사.
- '''구상 명사/구체 명사''': '연필'이나 '절' 등과 같이 유형의 물체를 나타내는 명사.
3. 2. 8. 명사의 구성
다음과 같이 만들어진 명사도 있다.; 전성명사
: 다른 품사에서 명사로 바뀐 것.
:* 동사·형용사의 연용형이 그대로 명사로 사용되는 경우 (예를 들어, 「귀가」, 「멀리」 등).
:* 형용사·형용동사의 어간에 「さ(사)·み(미)·け(케)」가 붙어 명사가 되는 경우 (예를 들어, 「춥다+け(케)=추위」, 「조용하다+さ(사)=조용함」 등).
; 복합명사
: 둘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명사 (예를 들어, 「봄+바람=봄바람」, 「오르다+언덕=오르막」 등).
3. 3. 명사구
명사구(영어: Noun Phrase, '''NP''')는 일반적으로 일반 명사, 고유 명사 또는 대명사를 핵으로 하는 구이다.[18] 핵은 유일한 구성 요소일 수도 있고, 관형사와 형용사에 의해 수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 개는 커티스 씨 근처에 앉아 꼬리를 흔들었다"는 ''그 개''(동사 ''앉았다''와 ''흔들었다''의 주어), ''커티스 씨''(전치사 ''근처''의 보어), ''그것의 꼬리''(''흔들었다''의 목적어)와 같이 세 개의 명사구를 포함한다.[18] "당신은 그들의 선생님이 되었다"는 ''당신''(''되었다''의 주어), ''그들의 선생님''과 같이 두 개의 명사구를 포함한다.[18]명사 또는 대명사를 주요부(주어)로 하는 구, 또는 명사와 같은 역할을 하는 구를 말한다.[18] 통사론, 특히 X-바 이론에서는 수식어를 동반하지 않는 단독 명사·대명사도 1개의 단어로 명사구를 이룬다고 여겨진다.[18]
예를 들어, "아름다운 꽃이 피어있다"라는 문장에서 "아름다운 꽃"이라는 구는 수식어("아름다운") + 명사("꽃")로 구성된다.[18] 주요부가 명사이므로 "아름다운 꽃"은 명사구가 된다. 만약 "꽃"을 제거하고 "'''아름다운'''이 피어있다"라고 하면, 구문으로 올바르지 않게 된다.[18] "△가 피어있다"의 "△"는 명사(구)여야 하며, "아름다운"(형용사)은 그 주요부가 될 수 없다. 통사론에서는 "피다"라는 동사가 주어 역할을 하는 명사구를 논항으로 요구하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18]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한 것은 위대하다"라는 문장에서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한 것"을 "그것"이라는 대명사로 바꾸어 "그것은 위대하다"라고 말할 수 있으므로,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한 것"이라는 구는 명사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어 명사구로 간주된다.[18] "아름다운 꽃이 피어있다"도 "그것이 피어있다"로 바꿔 말할 수 있다.[18]
3. 4. 명사절
술어가 명사의 역할을 하는 것을 명사절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아들이 대학에 합격하는 것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라는 문장에서 "아들이 대학에 합격하는 것"이 명사절에 해당한다.3. 5. 명사법
명사법은 동사나 형용사를 활용의 연용형으로 변환하거나, 접미사를 붙여 명사로 취급하는 용법이다.예: 「行う(행하다)」 → 「行い(행위)」、「広い(넓다)」 → 「広さ(넓이)」 등.
프랑스어와 스페인어에서는 형용사가 형용사가 나타내는 특성을 가진 사람들을 지칭하는 명사 역할을 자주 한다. 영어에서도 이와 같은 현상이 나타난다.
- 이 법안은 ''빈곤층''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경주는 ''빠른 자''에게, 전투는 ''강력한 자''에게 있는 것이 아니다.
-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은 전 세계 정당들의 연합이다.
3. 6. 기타 언어에서의 명사의 특징
일본어와 중국어 등에서는 계수사를 사용하여 명사가 나타내는 대상의 개수를 나타내는 반면, 많은 언어에서는 명사를 직접 셀 수 있다. 이 명사가 나타내는 수를 수라고 부르며, 적어도 "단수"와 "복수"가 있다. 다만, 이러한 언어에서도 모든 명사를 셀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추상 명사 등은 셀 수 없다. 셀 수 있는 명사를 가산 명사, 그렇지 않은 것을 불가산 명사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후자는 단수형만 존재한다. 의미에 따라 가산과 불가산으로 나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영어의 페이퍼/paper영어는 종이의 의미라면 불가산으로 투 시츠 오브 페이퍼/two sheets of paper영어 등으로 표현하지만, 신문·논문의 의미라면 가산으로 투 페이퍼스/two papers영어 등으로 표현한다. 또한, 인명 (특히 성씨)에 대해서는 복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he" + "성씨의 복수형"으로 "#전송 가문"이라는 의미가 된다 (더 다나카스/the Tanakas영어는 "다나카 가문"}). 또한, 혈연관계가 없더라도 여러 동성인을 가리키는 경우에는 복수형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신문 등에서 투 마쓰이스/two Matsui일부 언어에서 일반 명사와 고유 명사는 문법적 성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남성, 여성, 중성으로 분류된다. 명사의 성은 해당 명사를 수식하거나 함께 사용되는 단어에서 일치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에서 정관사의 단수 형태는 남성 명사의 경우 'le', 여성 명사의 경우 'la'이며, 형용사와 특정 동사 형태도 변경된다.[26]
성을 가진 언어의 대부분은 문법상의 성도 가진다. 모든 명사가 특정 그룹(남성, 여성 등)으로 나뉘며,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나 관형사,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대명사가 명사의 성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에서는 솔레이유/soleil프랑스어은 태양을 의미하는 남성 명사, 륀/lune프랑스어은 달을 의미하는 여성 명사이며, 관사가 붙으면 각각 르 솔레이유/le soleil프랑스어과 라 륀/la lune프랑스어이 된다.
실제 성과 일치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으며, 각 명사와의 대응도 언어마다 다르며, 일관성이 없다. 예를 들어, "태양"을 의미하는 프랑스어 솔레이유/soleil프랑스어, 스페인어솔/soles는 모두 남성 명사이지만, 독일어조네/Sonnede는 여성 명사이며, 한편, "달"을 의미하는 프랑스어 륀/lune프랑스어, 스페인어 루나/lunaes는 여성 명사인 데 반해, 독일어 Mond|몬트de는 남성 명사이다.
결국, "성"이라고 말하지만, 실제로는, 유사한 규범성을 갖는 명사 집합의 호칭이며, 언어에 따라 5개 이상으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성 (문법)#성의 수」참조), 자연의 성에 얽매이지 않는 "명사류", "명사 클래스"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일부 언어는 명사에 격(case)을 부여하며, 이는 문장 내에서 명사의 역할을 나타낸다. 영어 명사의 격은 주격(nominative case), 속격(genitive case) 또는 소유격(possessive case), 목적격(objective case)으로 분류된다.
속격 또는 소유격은 주격 관계, 목적격 관계, 또는 단순한 소유 관계를 나타낸다.
표준 독일어의 정자법에서는 모든 명사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해야 한다.
3. 6. 1. 수
명사가 나타내는 대상의 개수를 나타낼 때, 일본어와 중국어 등에서는 계수사를 사용한다. 한편, 많은 언어에서 명사를 직접 셀 수 있다. 이 명사가 나타내는 수를 수라고 부르며, 적어도 "단수"와 "복수"가 있다. 다만, 이러한 언어에서도 모든 명사를 셀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추상 명사 등은 셀 수 없다. 셀 수 있는 명사를 가산 명사, 그렇지 않은 것을 불가산 명사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후자는 단수형만 존재한다. 의미에 따라 가산과 불가산으로 나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영어의 페이퍼/paper영어는 종이의 의미라면 불가산으로 투 시츠 오브 페이퍼/two sheets of paper영어 등으로 표현하지만, 신문·논문의 의미라면 가산으로 투 페이퍼스/two papers영어 등으로 표현한다. 또한, 인명 (특히 성씨)에 대해서는 복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he" + "성씨의 복수형"으로 "#전송 가문"이라는 의미가 된다 (더 다나카스/the Tanakas영어는 "다나카 가문"}). 또한, 혈연관계가 없더라도 여러 동성인을 가리키는 경우에는 복수형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신문 등에서 투 마쓰이스/two Matsui3. 6. 2. 성
일부 언어에서 일반 명사와 고유 명사는 문법적 성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남성, 여성, 중성으로 분류된다. 명사의 성은 해당 명사를 수식하거나 함께 사용되는 단어에서 일치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에서 정관사의 단수 형태는 남성 명사의 경우 'le', 여성 명사의 경우 'la'이며, 형용사와 특정 동사 형태도 변경된다.[26]성을 가진 언어의 대부분은 문법상의 성도 가진다. 모든 명사가 특정 그룹(남성, 여성 등)으로 나뉘며,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나 관형사,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대명사가 명사의 성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에서는 솔레이유/soleil프랑스어은 태양을 의미하는 남성 명사, 륀/lune프랑스어은 달을 의미하는 여성 명사이며, 관사가 붙으면 각각 르 솔레이유/le soleil프랑스어과 라 륀/la lune프랑스어이 된다.
실제 성과 일치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으며, 각 명사와의 대응도 언어마다 다르며, 일관성이 없다. 예를 들어, "태양"을 의미하는 프랑스어 솔레이유/soleil프랑스어, 스페인어솔/soles는 모두 남성 명사이지만, 독일어조네/Sonnede는 여성 명사이며, 한편, "달"을 의미하는 프랑스어 륀/lune프랑스어, 스페인어 루나/lunaes는 여성 명사인 데 반해, 독일어 Mond|몬트de는 남성 명사이다.
결국, "성"이라고 말하지만, 실제로는, 유사한 규범성을 갖는 명사 집합의 호칭이며, 언어에 따라 5개 이상으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성 (문법)#성의 수」참조), 자연의 성에 얽매이지 않는 "명사류", "명사 클래스"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3. 6. 3. 격
일부 언어는 명사에 격(case)을 부여하며, 이는 문장 내에서 명사의 역할을 나타낸다. 영어 명사의 격은 주격(nominative case), 속격(genitive case) 또는 소유격(possessive case), 목적격(objective case)으로 분류된다.속격 또는 소유격은 주격 관계, 목적격 관계, 또는 단순한 소유 관계를 나타낸다.
3. 6. 4. 표기
표준 독일어의 정자법에서는 모든 명사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해야 한다.참조
[1]
웹사이트
Noun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
문서
Example nouns for:
[3]
서적
The Cambridg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Language Unlimited: The science behind our most creative powe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
문서
The word and the world: India's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language
[6]
문서
nomen
[7]
간행물
The Chicago Manual of Style
http://www.chicagom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
서적
Foundations of language: brain, meaning, grammar, evolu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9]
서적
Word and Object
MIT Press
2013
[10]
문서
Idioms often include nouns in a way that may be independent of any nominal meaning they may have: in rock and roll there is no reference to any "rock" or any "roll"; lock, stock, and barrel is a dead metaphor that refers only to a figurative sense of a lock or stock or barrel. See [[hendiadys]] and [[hendiatris]].
[11]
서적
Oxford Handbook of Word Classes
https://www.research[...]
Oxford University Press
2022
[12]
서적
Non-verbal predication: theory, typology, diachrony
Mouton de Gruyter
1992
[13]
문서
Lester, Beason, 2005
[14]
문서
Nominal Reference, Temporal Constitution and Quantification in Event Semantics
Foris Publication
[15]
문서
Borer, 2005
[16]
문서
Gowers, 2014
[17]
웹사이트
Inalienable Noun
https://glossary.sil[...]
SIL International
2015-12-03
[18]
문서
In this position their teacher would be analysed variously under different linguistic theories. For example, some would classify it as a "predicate nominal over the subject" (as in the article [[Predicative expression]]); but all would agree that it is not an object since became is not [[Transitive verb|transitive]]. Traditionally, and very commonly in mainstream linguistic analysis, it is classified as a complement or predicative complement (PC); see extended treatment in Chapter 4 ("The clause: complements") of Huddleston and Pullum (2002), pp. 213–321: for example in §5.1 at p. 253, where the NP a minister is taken as a PC in "Ed became a minister" contrasting with its role as an object (O) in "Ed attacked a minister".
[19]
문서
亀井ほか編 1996: 1327.
[20]
문서
Koptjevskaja Tamm 2006: 720.
[21]
문서
Givón 1984: 51.
[22]
문서
亀井ほか編 1996: 1329.
[23]
문서
Mithun 2000.
[24]
문서
普通名詞
https://kotobank.jp/[...]
[25]
웹사이트
「チンする」9割に浸透=慣用句は誤用が増加—国語に関する世論調査・文化庁
http://headlines.yah[...]
2017-01-29
[26]
문서
研究社 『新英和大辞典』第6版な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